반응형
🧠 BMI 지수와 과체중 분석
1. BMI란?
- BMI (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
- 공식:BMI=체중 (kg)(신장 (m))2BMI = \frac{\text{체중 (kg)}}{(\text{신장 (m)})^2}
- 키와 몸무게를 바탕으로 체지방률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지표.
- 남녀노소 구분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
2. BMI 기준 (WHO 및 한국 기준)
BMI 수치분류
< 18.5 | 저체중 |
18.5–22.9 | 정상 체중 |
23.0–24.9 | 과체중 (위험) |
25.0–29.9 | 비만 1단계 |
30.0–34.9 | 비만 2단계 |
≥ 35.0 | 고도비만 |
※ 한국은 BMI 23 이상부터 '위험수준'으로 간주 (서양보다 엄격).
3. 과체중(Overweight)이란?
- 정의: BMI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지만, 아직 비만(25 이상)은 아닌 상태.
- 수치:
- 23.0 ≤ BMI < 25.0
- 특징:
- 겉보기에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일 수 있음.
- 그러나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질환 위험이 서서히 증가하는 구간.
4. 과체중의 위험성
- 건강 영향:
- 인슐린 저항성 증가
-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 혈압 상승
- 만성 염증 증가
- 장기적 위험:
- 비만으로의 진행 가능성
- 대사증후군 발생률 증가
5. BMI의 한계
- 체지방률을 직접 측정하지는 않음.
- 근육량 많은 사람(예: 운동선수)은 BMI가 높아도 건강할 수 있음.
- 연령, 성별, 체형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보조 지표(허리둘레, 체지방률)와 함께 평가하는 것이 이상적.
6. 추가 평가 지표
- 허리둘레 (복부 비만 지표)
- 체지방률
- 기초대사량
- 근육량 대비 지방량
반응형
'다이어트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 지식, 간헐적 단식에 관하여 (2) | 2025.04.27 |
---|---|
항산화+해독 식품 추천 (5) | 2025.04.26 |
다이어트 강박증, 살너무 빼려고 하지 마세요 (2) | 2025.04.09 |
성인에게 좋은 영양파우더 성분 정리 (피로·장건강·집중력·수면 기준) (0) | 2025.04.07 |
영양가 있는 식사 추천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