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에 관하여

반복되는 먹이사슬 구조 이론 도서 모음집

건강한 다이어트와 다양한 상식 공유 2025. 4. 5. 07:54
반응형

🧠 1. 철학·인문학 (20권)

도서명저자
『존재와 시간』 마르틴 하이데거
『차이와 반복』 질 들뢰즈
『지식의 고고학』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
『정신현상학』 게오르크 헤겔
『논리철학논고』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위안』 보에티우스
『시민불복종』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도덕 감정론』 애덤 스미스
『윤리학』 스피노자
『무의미의 축제』 밀란 쿤데라
『실재와 그 그림자』 이타마르 에벤주르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철학의 역사』 버트런드 러셀
『사유와 존재』 사르트르
『정신의 삶』 한나 아렌트
『해체와 구조』 자크 데리다
『미학 강의』 게오르크 헤겔

📊 2. 정치·사회·경제학 (15권)

도서명저자
『자본론』 카를 마르크스
『공론장의 구조변동』 위르겐 하버마스
『국가란 무엇인가』 찰스 틸리
『폭력의 문화』 요한 갈퉁
『정치적 질서의 기원』 프랜시스 후쿠야마
『자유의 미래』 아마르티아 센
『불평등의 대가』 조지프 스티글리츠
『21세기 자본』 토마 피케티
『거대한 전환』 카를 폴라니
『감정노동의 사회학』 아를리 러셀 호크실드
『신자유주의의 역사』 데이비드 하비
『위험사회』 울리히 벡
『행위와 구조』 앤서니 기든스
『부의 대이동』 레이 달리오
『경제적 인간의 몰락』 카를 슈미트

🔬 3. 자연과학·수학·물리 (12권)

도서명저자
『시간의 역사』 스티븐 호킹
『코스모스』 칼 세이건
『평행우주』 미치오 카쿠
『엘러건트 유니버스』 브라이언 그린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생명이란 무엇인가』 E. 슈뢰딩거
『물리법칙의 특성』 리처드 파인만
『혼돈의 가장자리』 미첼 월드롭
『엔트로피』 제러미 리프킨
『수학의 역사』 모리스 클라인
『수학의 정수』 이언 스튜어트
『프랙탈 이론』 브누아 망델브로

🧬 4. 생명과학·신경과학·심리학 (12권)

도서명저자
『의식의 해석자』 마이클 가자니가
『뇌, 생각의 출현』 마이클 가자니가
『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
『의식은 언제 생기는가』 안토니오 다마지오
『뇌의 미래』 딥악 초프라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스티븐 핑커
『심리학의 원리』 윌리엄 제임스
『인지의 이해』 스티븐 슬로먼
『직관 펌프』 대니얼 데닛
『뇌는 마법을 믿지 않는다』 보리스 시리울닉
『집단사고』 어빙 재니스
『정서지능』 대니얼 골먼

🌍 5. 역사·문명·고고학 (10권)

도서명저자
『역사의 연구』 아놀드 토인비
『총, 균, 쇠』 제러드 다이아몬드
『문명의 충돌』 새뮤얼 헌팅턴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역사란 무엇인가』 E.H. 카
『고대국가의 기원』 고든 차일드
『인간의 발자취』 브라이언 페이건
『오리엔탈리즘』 에드워드 사이드
『고대문명의 미스터리』 그레이엄 핸콕
『미술사의 역사』 E.H. 곰브리치

🎨 6. 예술·미학·미술사 분야 추천도서 (10권)

번호도서명저자내용 요약
1 『예술의 철학』 게오르크 헤겔 예술을 정신의 전개과정으로 해석한 고전 미학서. 고대부터 근대까지 예술의 본질과 역사 분석.
2 『예술작품의 본질의 기원』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론적 관점에서 예술작품이 세계를 드러내는 방식 탐구. 철학-예술의 경계 허물기.
3 『시각적 사고』 루돌프 아른하임 인간의 지각능력과 시각 예술의 관계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한 고전. 게슈탈트 이론 기반.
4 『상상력의 해방』 허버트 리드 추상예술과 모더니즘을 중심으로 한 예술비평. 영국 아방가르드의 대표 미학자.
5 『예술이란 무엇인가』 톨스토이 예술의 도덕적, 사회적 기능을 강조한 고전. 감정의 전염으로서 예술을 정의.
6 『이미지의 삶과 죽음』 레지스 드브레 기술 시대의 이미지 생산과 소비에 대한 철학적·사회학적 고찰.
7 『예술의 종말 이후』 아서 단토 현대미술 이후 예술의 본질이 어떻게 철학적으로 재정의되는지를 분석. ‘예술의 종말’ 개념 제시.
8 『상징형식의 철학』 에른스트 카시러 언어, 신화, 예술 등 문화 형식을 철학적으로 분류하며 예술을 상징의 하나로 다룸.
9 『미메시스』 에리히 아우어바흐 서구 문학과 예술에서 ‘현실 재현’의 방식 변화를 미학적으로 분석한 명저.
10 『세계 미술사』 에른스트 곰브리치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미술의 전개과정을 통시적으로 설명한 미술사 입문이자 고전.

🎨 예술철학의 분파별 주요 도서 (5권)

번호도서명저자분파·내용
11 『미와 예술』 크리스토퍼 얀 페이 분석철학 기반의 현대 미학 입문서. 예술의 정의와 가치 평가를 분석적 방법으로 접근.
12 『형식주의와 예술』 수전 랭어 형식주의 미학 대표 저작. 음악과 예술의 감성적 구조 탐색.
13 『프랑스 구조주의 미학』 장 마리 샤에 구조주의 미학의 핵심 사상과 문학, 예술, 기호학 연결고리 탐구.
14 『해체와 예술』 자크 데리다 탈구조주의 미학의 핵심. 예술 해석에서 중심의 해체와 의미의 미끄러짐 개념을 전개.
15 『페미니즘과 예술』 그리젤다 폴록 페미니즘 미학의 대표 저작. 미술사에서 여성의 위치와 시선 문제 제기.

🕰️ 시대별 미학사 관련 필독서 (5권)

번호도서명저자시대·내용
16 『고대 미학사』 스티븐 홀게이트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시작되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미 개념 분석.
17 『중세의 빛과 아름다움』 움베르토 에코 중세 미학, 신비주의, 상징주의적 아름다움의 구조를 탐색한 깊이 있는 논문집.
18 『르네상스 예술과 인간』 제임스 엘킨스 르네상스 예술의 미적 전환, 인문주의와 형식의 변화를 통합적으로 고찰.
19 『계몽과 미학』 테리 이글턴 계몽주의 시대의 이성 중심 미학의 형성과 낭만주의와의 긴장관계.
20 『현대 미학의 흐름』 아놀드 하우저 모더니즘, 아방가르드, 포스트모더니즘까지의 미학사 총체적 정리.

📚 요약 정리

  • 분파별 정리: 분석철학, 형식주의, 구조주의, 탈구조주의, 페미니즘 등
  • 시대별 정리: 고대 → 중세 → 르네상스 → 근대(계몽) → 현대(모더니즘, 포스트모던)
반응형